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색동저고리 한복 유래 의미

팩토리보이 2025. 5. 18. 09:05

한복의 대표적 아이템인 색동저고리는 어린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한국 전통 복식입니다. 소매에 오방색(五方色) 천을 이어 붙인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그 유래는 여러 설로 전해집니다.

고려 시대의 실용적 시작

고려 시대 승려들이 자녀 구분을 위해 색동옷을 입힌 것이 시초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당시 옷감이 귀했던 사회적 배경에서 남은 천 조각을 활용한 실용적 측면도 작용했는데, 이는 자원 재활용의 선구적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음양오행사상의 영향

적·청·황·백·흑의 오방색 배열은 우주적 조화를 상징합니다. 돌잔치나 명절에 입힌 이유는 아이가 천지의 기운을 받아 액운을 막고 장수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됐습니다. 특히 색동 수를 13개나 15개로 짝수를 피한 것은 불길함을 배제하기 위한 의도였습니다.

색동저고리 한복 유래 의미 색동저고리 한복 유래 의미

시대별 변천 과정

조선 시대에는 양반가에서 일상복으로, 서민층에서는 명절복으로 구분 사용됐습니다. 1923년 방정환 선생이 창립한 '색동회'는 이 옷에서 영감을 받아 어린이 인권 운동을 전개하며 문화적 상징성을 확장시켰습니다.

현대적 재해석과 계승

21세기 들어 천연염색 기술 발달로 은은한 색조의 색동저고리가 등장하며 세대를 아우르는 패션 아이템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전통 방식의 21색 대신 단아한 5-7색 조합이 선호되며, 커플룩으로도 확장 적용되는 추세입니다. 오늘날 색동저고리는 단순한 전통복을 넘어 한국적 미학을 세계에 알리는 문화 코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색동저고리 한복 유래 의미 색동저고리 한복 유래 의미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