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연의 작은 건축가이자 생태계의 중요한 일원인 개미는 계절에 따라 다양한 활동 패턴을 보입니다. 한국에 서식하는 137종의 개미들은 기온과 습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각 계절마다 독특한 생존 전략을 발휘합니다.
봄철 개미의 활동 개시
봄철(3~5월)은 개미들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겨울 동안 휴면상태에 있던 개미 군체가 기온이 상승하면서 활기를 띠기 시작합니다. 기온이 15℃ 이상으로 올라가면 일개미들이 집 밖으로 나와 먹이 활동을 시작하며, 새로운 둥지 건설과 확장에 필요한 자원을 수집합니다.
이 시기에는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나 짱구개미(Messor aciculatus), 갈색발왕개미(Camponotus kiusiuensis), 한국홍가슴개미(Camponotus atrox), 스미스개미(Paratrechina flavipes) 등이 특히 활발하게 활동하며 결혼비행을 준비합니다. 4~6월은 이들 종의 결혼비행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새로운 군체 형성의 중요한 시기입니다.

여름철 최대 활동기
여름철(6~8월)은 개미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 고온 다습한 환경은 대부분의 개미종에게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합니다. 연중 최고 활동량을 보이며, 먹이 수집과 영역 확장이 최대치에 이릅니다.
이 시기에는 곰개미(Formica japonica), 주름개미(Tetramorium caespitum),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숲곰개미(Formica hayashi), 불개미(Formica yessensis) 등이 결혼비행을 하며 새로운 군체를 형성합니다. 개미들은 주로 이 시기에 단백질 섭취량을 늘리며 애벌레를 기르는 데 집중합니다.
다만, 기온이 지나치게 높아 35℃를 넘어가는 폭염 기간에는 개미의 활동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과도한 고온이 개미의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가을철 대비 활동기
가을철(9~11월)은 겨울을 대비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개미들은 이 시기에 탄수화물 위주의 식이로 전환하여 겨울철 에너지원을 비축합니다. 기온이 서서히 내려가면서 개미의 활동 반경은 점차 둥지 주변으로 좁아집니다.
황개미(Lasius flavus), 가시개미(Polyrhachis lamellidens), 일본침개미(Pachycondyla javana), 노랑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osakensis), 사쿠라개미(Paratrechina sakurae) 등이 이 시기에 마지막 결혼비행을 진행합니다. 또한 가을은 군체가 겨울을 대비해 둥지를 정비하고 깊은 지하 공간으로 이동하는 시기입니다.
겨울철 생존 전략
겨울철(12~2월)은 개미 활동이 최소화되는 시기입니다. 대부분의 개미 종은 지하 깊숙한 곳에서 집단으로 모여 체온을 유지하며 휴면 상태로 겨울을 보냅니다. 여왕개미와 일개미들은 가을에 비축한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소비하며 생존에 집중합니다.
일부 나무개미 종은 둥지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를 만들어 겨울을 견뎌냅니다. 속이 빈 나무나 다양한 식물 조각으로 둥지를 구성하여 효과적인 단열 환경을 조성합니다.
기후변화와 개미 활동의 변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개미의 활동 시기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겨울철 평균 기온 상승으로 개미의 휴면 기간이 짧아지고, 봄철 활동 시작 시기가 앞당겨지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1981년과 비교하여 2010년에는 일부 개미종의 출현 시점이 약 5주 정도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고온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일부 외래종 개미나 흰개미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생태계 변화와 목조건축물 피해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개미 생태의 중요성
개미는 단순한 해충이 아닌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입니다. 토양의 공기와 물 순환을 돕고, 식물의 씨앗을 퍼뜨리며, 다른 생물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개미가 야생초 씨앗과 공생관계를 형성하여 숲과 같은 자연환경 조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개미의 계절별 활동을 이해하는 것은 자연 생태계의 흐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이 작은 생명체들의 지혜로운 생존 전략을 통해 우리는 자연의 놀라운 적응력과 회복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

